본문 바로가기

좋아하는 글

키크기 체조

박기원 한의사 ‘키크기 체조’ 제안


      



        


      


      


      


      

작은 키때문에 고민하는 어린이들이 많다.


      

키는 유전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영양, 운동,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어린이 키크기체조를 보급하고 있는 한의사 박기원 박사(서정성장클리닉 원장)는 “어린이들이 성장적령기에 살이 찌면 성호르몬 분비가
        촉진돼 성장이 멈추게 되므로 비만이 되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 한다”고 말한다.


      

성장적령기는 여학생은 초경이 시작되기 전인 초등학교 3학년, 남학생은 변성기가 시작되기 전인 초등학교 5학년이다.


      

성호르몬은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해 여학생의 경우 초경이 시작된 지 2∼3년, 남학생은 변성기가 시작된 지 3년쯤 지나고
        나면 무릎의 성장판이 닫혀 더 이상 키가 자라지 않게 된다.


      

일부 학생의 경우 사춘기 이후에도 키가 자라기는 하지만 대개는 몇 cm에 그친다는 것. 박 원장은 “어린이들이 뼈의 관절 부위를
        자극하는 운동을 꾸준히 하면 성장판이 천천히 닫혀 키가 클 수 있다”고 말한다. 다음은 박 원장이 권하는 키크기체조.


      

김세원 기자

        출처:어린이동아일보